1 minute read

SSD VS HDD

파일 시스템 공부를 하다가 왜 SSD가 HDD보다 빠른지 구조적으로 궁금해져서 찾아봤다.

SSD_VS_HDD

우선 각자의 개념부터 간단하게 알아보자.

HDD (Hard Disk Drive)

HDD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을 때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플래터라고 불리는 자성물질이 디스크를 회전시켜 트랙의 섹터에 데이터를 읽고 저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고 쓰기위해서는 데이터를 읽고 쓸곳에 섹터를 찾아가야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디스크를 회전 시키고 왔다 갔다 해야합니다.

단점은 물리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충격에 취약하고 소음이 발생하며 전력소모가 많다는 것입니다.

SSD (Solid State Drive)

SSD

데이터를 읽고 저장할 때 HDD와 다르게 물리적인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메모리(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매체로 사용합니다. 또한 위 그림에서 내부 구조를 보면 컨트롤러와 DRAM(버퍼메모리)도 들어있습니다.

단점은 HDD보다 열에 약하고 전원을 연결하지 않고 고온에 장시간 방치하면 데이터 보존기간이 짧아져서 데이터 손상 위험이 있다.

컨트롤러는 SSD의 메모리칩에 대한 부하를 분산하고 오류를 수정하는 역할을 하는 SSD안에서 CPU역할을 하는 장치 이고, 이 컨트롤러가 SSD의 수명과 성능을 직접 관여하므로 중요한 장치이다.

버퍼메모리는 PC의 다른 장치와 SSD간의 처리 속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캐시느낌)

왜 더 빠른가

생긴것부터 SSD가 빠르게 생겼고 HDD는 옛날것처럼 보인다.

HDD와는 다르게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구조가 아니라 메모리로 되어 있어 HDD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찾고 저장할 수 있다.

Tags: ,

Categories:

Updated:

Comments